Post

EO 인터뷰 - 한기용님의 조언

“더 빨리 많이 도전해보지 않은게 아쉬움으로 남습니다.”

1부

  • 팀플레이에서 길을 잃지 않고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각자 역할을 분명히하고 감정적인 불일치를 피하기 위해 분야별 결정권을 확실히 하는게 도움이 된다.
  • 지금 본인에게 주어진 상황에서 도전을 망설인다면 새로운 기회와 교환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자신감을 잃지 않는게 중요하다.
    • 기회는 행동에 옮겨야 오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오는 불확실성은 내가 가진 것을 잃는게 아니라 새로운 경험과 교환하는 것이다.
  • 현재의 감정적인 반응과 불안함은 과거의 상처와 경험에서 영향을 받은 것일 수 있다.
    • 개인적인 상처와 경험은 무엇이 문제였는지 내가 왜곡해서 보고있는게 아닌지 깊게 생각하고 치유해야한다.
  • 변화하기 위한 두가지: 안 해본거 해보는 것, 싫어하는 거 다시 해보는 것

2부

  •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목표가 생기지는 않는다.
    • 남들이 나를 바라보는 시각에 맞추어 눈치보는 방식이 본인 인생을 사는 것이라 볼 수 있을까.
  • 결과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.
    •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 어떤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 보다 이 일이 왜 필요한지, 왜 중요한지 알아내고 선택 후에는 빠르게 결과를 내는 것이 커리어적으로 도움이 되었다.
  • 지금까지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바라보자.
    • 어떤 경험이건 상처로만 남기지 말자.
    • 다른 시각에서 보려 노력하자.
  • 머리로만 생각하지 말고 행동으로 옮겨야 나에 대해 발견할 수 있다.
  • 정말 원하는게 무엇인지 어렸을 때 생각해보지 않고 실패를 해도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이 있을 때 뭔가 해보지 않은 것을 후회한다.

3부

  • 선행학습으로 모든 걸 해결할 수 없다.
    • 미래에 대한 고민보다 지금 현재에 충실해라.
    • 공부로 모든 걸 해결하지 말고 행동으로 옮겨라.
  • 모든 기회는 불확실성이 있다.
    • One-way door, Two-way door
    • 인생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 때 이 길이 틀렸다면 어떡하지라는 생각에 망설인다면 정말 되돌릴 수 없는지, 그렇지 않게 만들 수 없는지 생각해보자.
  • 커리어 결정은 논리적으로 하기 어렵다.
    • 나이들고나서 해보지 않은 것에 대한 후회를 최소화하기위해 행동하고 결정하라.
  • 무엇이는 노력하기 전에 나를 평가할 수 있는, 먼저 길을 가본 사람에게 물어 방향을 찾고 노력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식이다.
  • 주니어에게 요구되는 점: 깊이있는 학습높은 피드백 수용력
  • 과거의 나의 장점과 단점이 지금도 그런지 생각해보자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